
TV에서 미국과 관련된 뉴스가 나오면 보통 백악관이 등장합니다.널따란 잔디밭 한가운데 솟은 하얀 집은, 규모 면에서는 별로 크지 않지만 최강의 권력이 뿜어져나오는 장소라는 점에서 대단한 의미를 갖고 있지요. 백악관은 1790년 초대 대통령인 워싱턴이 연방 정부의 위치와 규모를 규정하는 법률에 서명함으로써 그 역사가 시작됩니다.
건국 당시의 미국은 영국과 대립 관계에 있었으므로 자연히 유럽에서 프랑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밖에 없었지요. 미국의 독립전쟁 자체가 프랑스 대혁명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는 데다가, 전쟁 당시 프랑스는 영원한 경쟁자 영국과 맞서 싸우는 미국을 적극적으로 지원했기 때문입니다. 수도 워싱턴의 위치 선정과 기본적인 설계 역시 프랑스인 건축가 피에르 샤를 렝팡이 맡았는데, 지금도 워싱턴 DC에는 렝팡이라는 지명이 남아 있습니다.

마침내 1792년 10월에 공사가 시작되었고, 대통령 워싱턴은 자신이 살게 될 집의 공사를 직접 점검하곤 했다는군요. 하지만 대충 완공이 된 1800년에 워싱턴은 이미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물론 1799년에 사망하지 않았다 해도, 1797년에 퇴임을 했으니 백악관에서 살 수는 없었겠지요.

건물 내에 화장실은 35개가 있고, 412개의 문과 147개의 창문이 있다는군요. 백악관 관광은 테러 이후 까다로워져서 여러 달 전에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당시 국무장관 제퍼슨은 500달러의 상금과 땅을 내걸고 의사당 설계 공모전을 개최했지만 17개의 응모작 가운데 마음에 드는 게 없었다는군요. 이 와중에 느닷없이 영국령 서인도 제도에 살고 있던 윌리엄 손튼이란 의사가 뒤늦게 응모를 하는데, 결국 이 안이 1793년 7월에 채택됩니다. 이 공사의 감독은 백악관을 설계한 제임스 호번이 맡았고요.

우여곡절 끝에 1826년 완공된 의사당 건물은 여러 차례의 확장을 통해 1970년경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지요.

하얀 집 두 곳을 돌아보며, 이제 좀더 발전적인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힘과 뜻을 모아 앞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One Comment
멋지군여… 안에는 구경 못하신듯~
1년을 축하드립니당… 나날이 멋져가는 홈피 보기 좋군여
아무도록 마무리 잘하시고 귀국하시길 바라겠습니다… ^^;